졸업성과
졸업성과 |
시기성과 |
의학지식 |
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각 장기 및 계통별로 설명할 수 있다. |
인체의 발생, 성장 및 노화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 |
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기전을 분자 및 세포 단위에서 설명할 수 있다. |
비정상적인 상태를 유발하는 인자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방어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. |
질병 상태에서 나타나는 주요 장기의 병리 및 병태생리를 설명할 수 있다. |
인체 내 약물의 작용기전과 효과 및 부작용을 질병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. |
임상술기능력 |
연령, 성별, 사회-경제학적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병력을 파악할 수 있다. |
성인과 소아에게 각 장기별로 신체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. |
기본적인 임상 수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
문제해결능력 |
흔한 질환의 임상 소견, 검사실 소견, 방사선 소견, 병리학적 특징 등을 해석할 수 있다. |
임상 문제를 해결할 때 타당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. |
급만성 질환에 대해 적절한 진단 및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 |
집중 치료를 요구하는 환자 상태를 인식하고 초기 관리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. |
지역사회책무성 |
지역사회 보건의료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사회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자세를 갖춘다. |
인류건강증진능력 |
질병 발생과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, 심리적, 사회적, 문화적인
결정인자를 이해한다. |
흔한 질병에 대한 역학적 지식과 이러한 질병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
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인지하고, 예방적 의료와 건강증진을 수행할 수 있다. |
건강관리에 필요한 조직, 재정, 전달체계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을
이해하며, 효율적, 과학적, 근거 중심적인 진료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활
용할 수 있다. |
의학사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의학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미래의학의 전망을 예견할 수 있다. |
의학전문직업성 |
의사-환자관계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, 효과적인 의학면담기법을 습득하여 환자와의 인간관계 형성 능력을 갖춘다. |
환자를 이해하고 대변해 주며, 환자의 개인적인 비밀이나 권위를 존중한다. |
윤리적 결정을 뒷받침하는 이론 및 원리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예기되는 윤리적 갈등에 올바른 판단과 행동을 할 수 있다. |
다양한 의료종사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로 협동하여 능률적으로 일할 수 있다. |
의학연구역량 |
의학연구의 근간인 과학적 이론과 방법론을 획득할 수 있다. |
동물이나 환자대상 연구를 위한 윤리를 숙지한다. |
대상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 및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다. |
자기계발 |
자신의 의학 지식의 한계를 인지하고 이를 계속해서 개선하려는 태도를 갖춘다. |
평생학습능력 |
의료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평생학습의 자세를 갖춘다. |